도면의 크기 ,양식, 척도
2-1 도면의 크기(KS B ISO 5457)
도면의 크기는 폭과 길이로 나타냄
이 비율은 1:루트2
도면에는 a0 ~ a4까지의 크기가 사용됨
2-2 도면의 양식(KS b ISO 54570
1. 표제 -
도명 오른쪽 아래편에 도면에 관한 정보를 기입.
큰도면을 접을땐 a4크기로 접는게 원칙
접을떈 표제가 겉에 보이도록.
2. 경계와 윤곽
0.7mm 실선
왼쪽 20MM
오른쪽 10MM
3. 중심마크
도면 재작성 -> 잘하기위해 -> 0.7 굵은실선 10mm 로 4개 각변 중심에 찍음
4. 구역 표시
(좌표)
위아래 대문자
왼 오른 숫자
한 구역 중심마크 시작 50mm
5. 재단 마크
수동,자동으로 용지 잘라내기편하게 4변의 경계 재단마크 표시.
이 마는 10x5mm 의 두 직각삼각형 합쳐진 형태
6. 부품란
부품란 위치 오른쪽위 , 오른쪽 아래일경우 표제 위에
부품의 여러 필요정보 기입
2-3 도면에 사용되는 척도
척도 - 도면에 그려진 길이와 실제 길이와의 비율
1:1 == 현척
실제보다 작게 == 축척
실제보다 크게 == 배척
보통 2배 5배율 사용 -> 1순위사용
2.5 ,3 혹 25 배율은 2순위로 사용됨
척도표기 -
도면크기 : 실제크기
A:B
척도 기입 방법 -
표제란 기입원칙
없으면
도면이나 품번 가까운곳에 기입
척도와다른 배율의 그림그릴시 그림 옆에 척도 표시
그림이 척도 형태가 아닐경우 밑줄 또는 NS 또는 ' 비례가아님' 표기
2-4 도면의 검사 및 관리
도면 완성시 검사를 해야함.
1. 치수기입, 공차및 끼워맞춤 여부
2 가공기호 및 지시사항
3. 요목표(주요동작목표) - 체인 , 기어 etc
4. 재료 - 구조물의 강도 제조방법 etc
5. 표재란 기입 이상여부
도면변경시
적당한 기호(세모) 변경전 숫자나 기호는 보존 치수 알아 볼 수 있게
도면의 크기는 폭과 길이로 나타냄
이 비율은 1:루트2
도면에는 a0 ~ a4까지의 크기가 사용됨
2-2 도면의 양식(KS b ISO 54570
1. 표제 -
도명 오른쪽 아래편에 도면에 관한 정보를 기입.
큰도면을 접을땐 a4크기로 접는게 원칙
접을떈 표제가 겉에 보이도록.
2. 경계와 윤곽
0.7mm 실선
왼쪽 20MM
오른쪽 10MM
3. 중심마크
도면 재작성 -> 잘하기위해 -> 0.7 굵은실선 10mm 로 4개 각변 중심에 찍음
4. 구역 표시
(좌표)
위아래 대문자
왼 오른 숫자
한 구역 중심마크 시작 50mm
5. 재단 마크
수동,자동으로 용지 잘라내기편하게 4변의 경계 재단마크 표시.
이 마는 10x5mm 의 두 직각삼각형 합쳐진 형태
6. 부품란
부품란 위치 오른쪽위 , 오른쪽 아래일경우 표제 위에
부품의 여러 필요정보 기입
2-3 도면에 사용되는 척도
척도 - 도면에 그려진 길이와 실제 길이와의 비율
1:1 == 현척
실제보다 작게 == 축척
실제보다 크게 == 배척
보통 2배 5배율 사용 -> 1순위사용
2.5 ,3 혹 25 배율은 2순위로 사용됨
척도표기 -
도면크기 : 실제크기
A:B
척도 기입 방법 -
표제란 기입원칙
없으면
도면이나 품번 가까운곳에 기입
척도와다른 배율의 그림그릴시 그림 옆에 척도 표시
그림이 척도 형태가 아닐경우 밑줄 또는 NS 또는 ' 비례가아님' 표기
4. 도면에 그려진 치수는 비록 척도에 맞춰 그려졌다고 하더라도 실물치수를 기입해야만 한다.
<예로 1000mm인 물체를 그린다면 1/10의 축척으로 그렸을 때 100mm로 그리게 되는데 치수를 부 여할 때 100mm를 쓰는 것이 아니라 실물치수인 1000mm로 표기해야만 합니다.>
도면 완성시 검사를 해야함.
1. 치수기입, 공차및 끼워맞춤 여부
2 가공기호 및 지시사항
3. 요목표(주요동작목표) - 체인 , 기어 etc
4. 재료 - 구조물의 강도 제조방법 etc
5. 표재란 기입 이상여부
도면변경시
적당한 기호(세모) 변경전 숫자나 기호는 보존 치수 알아 볼 수 있게
댓글
댓글 쓰기